초록접수 현황

14F-085 구연 발표

Comparison of Clinical Results in Multi-vessel Coronary Artery Obstructive Disease between Minimally Invasive Coronary Artery Bypass and Conventional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Surgery
김희중, 이광형, 이승헌, 정재승, 김태식, 손호성, 선경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안암병원 흉부외과학교실

목적 : 관상동맥 우회수술에서 최소 칩습적 방법으로 좌측 내흉동맥과 좌전행지와 문합하는 방법의 유용성은 많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다중 혈관 관상동맥 폐쇄시의 최소 침습 관상동맥 우회수술의 효용성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므로, 다중 혈관 관상동맥 폐쇄시에 최소 침습 관상동맥 우회 수술과 일반적 관상동맥 우회수술의 성적을 비교하여 그 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 2001년 1월부터 2014년 4월까지 관상동맥 우회수술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개심수술이 동반되거나 기타 혈관 수술이 동시에 시행 된 경우는 제외하였다. 관상동맥 폐쇄 질환 중 단일 혈관 질환은 제외하고 이중 혈관 질환 이상의 다중 혈관 질환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과 전화 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는 수술 후 생존률, Major adverse cerebrocardiovascular event, 재시술률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 383명의 환자가 관상동맥 우회 수술을 시행받았고, 이 중에 292명의 환자가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292명의 환자를 최소 침습 관상동맥 우회 수술군(최소 침습 수술) 72명과 일반적인 관상동맥 우회 수술(관상 동맥 수술) 220명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추적 관찰 기간은 평균 46.3 ± 40.5 달이었다. 대상 환자의 평균 나이는 64.9 ± 9.3 이었고, 남성이 100명(34.2%)이었다. 최소 침습 수술군에서는 11명(15.4%)의 환자에서 Hybrid 수술 방법을 시행하였다. 문합 개수는 최소 침습 수술이 1.03 ± 0.16개, 관상 동맥 우회 수술군이 2.82 ± 0.79개였다.
두군 간의 수술 후 생존률 차이는 없었다.(log rank p=0.73) Major adverse cerebrocardiovascular event 의 경우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관상동맥 우회 수술군이 발생률이 낮은 경향이 있었고,(log rank p=0.064) 재시술률의 경우 최소 침습 관상동맥 우회 수술군에서 유의하게 많이 시술 되었다.(log rank p = 0.001)


결론 : 다중 혈관 관상 동맥 폐쇄 질환에서 최소 침습 수술은 일반적인 관상동맥 우회 수술에 비해 생존률은 차이가 없으나, 재시술률이 높았다. 이는 Hybrid 수술 방법과 남아 있는 병변의 진행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다중 혈관 질환에서 최소 침습 수술을 시행할 때는 재시술률을 낮추는 선별적인 선택이 필요할 것이다.


책임저자: 선경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안암병원 흉부외과학교실
연락처 : 김희중, Tel: 02-920-6638 , E-mail : heejung440@hanmail.net

목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