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접수 현황

14F-274 구연 발표

Duran과 MC3 고리를 이용한 삼첨판 판윤 성형술의 장기 성적 비교
이석인, 유재석, 이재원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학교실

목적 : 삼첨판 판윤 성형술은 크게 DeVega방법인 봉합 판윤성형술과 인공 고리 또는 밴드를 이용한 고리 판윤성형술로 나뉜다. 고리 또는 밴드는 rigid 또는 flexible, complete ring 또는 incomplete ring에 따라 나뉘며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여러 연구에서 고리 판윤성형술이 봉합 판윤성형술에 비해 장기성적이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고리의 종류에 따른 판윤 성형술의 장기 성적에 대해 비교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flexible, complete ring인 Duran ring과 rigid, incomplete ring인 MC3 ring을 이용한 판윤성형술의 장기성적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1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삼첨판 성형술을 시행받은 1271명 중 Duran 고리를 이용한 377명(Duran group)과 MC3 고리를 이용한 227명(MC3 group)을 비교하였다. 이 중 이엽화 방법이나 DeVega 방법을 병행하여 수술을 시행하였던 환자를 제외하고 각각 370명과 211명을 비교하였다. 경과관찰은 본원 심장내과 또는 흉부외과에서 시행되었고 심장초음파 검사는 수술직전, 수술직후에 시행하였으며, 경과관찰 하면서 증상이 새롭게 발생하였거나 일정기간 경과된 경우에 추가로 시행되었다. 삼첨판 역류증은 3등급 이상의 삼첨판 역류증을 의미있게 재발된 경우로 고려하였다.

결과 : 환자의 특성은 표1에서 보는 바와 같다. 삼첨판 질환은 대부분 기능적 삼첨판막 폐쇄부전이었고 두 그룹 모두에서 승모판 수술이 가장 많이 병행되었다. 두 그룹의 전체 사먕률은 Duran group에서 31명(8.4%), MC3 gruop에서 9명(4.3%)이였으며,(p=0.062) 이 중 30일 이내 사망 또는 입원기간내 사망인 조기사망률은 각각 11명(3%), 10명(4.7%)이였다.(p=0.273) 3등급 이상의 삼첨판 역류증 재발은 두 그룹 각각 35명(9.5%), 13명(6.2%)이었고(p=0.165) 경과관찰 기간에 따른 의미 있는 재발은 그림1에서 확인할 수 있다.(p=0.070)

결론 : 본 센터에서 MC3 고리를 이용한 삼첨판륜 성형술은 2008년부터 시행되어 Duran 고리을 이용한 삼첨판륜 성형술에 비해 경과기간이 적으나, 수술 후 3년 경과되면서부터 의미있는 삼첨판 역류증의 재발이 더 많은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책임저자: 이재원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학교실
연락처 : 이석인, Tel: 02-3010-3580 , E-mail : stone1979@naver.com

목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