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접수 현황

14F-207 포스터 발표

재발성 심장점액종 ; 카니증후군
권오영, 김근직, 이영옥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목적 : 심장점액종은 심장에 발생하는 양성종양 중 가장 흔한 종양으로서 흉부외과의가 자주 접하게 되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다. 하지만 이중에서도 재발성 심장점액종은 흔치않은 질환으로 다른 연관되어 있는 임상적 징후 및 질환과 함께 카니증후군을 의심해볼 수 있다. 카니증후군의 진단 및 임상양상에 대해 이해함으로써 재발성 심장점액종의 치료와 예후판단에 도움이 될 수 있겠다.

방법 : 1년전부터 시작된 흉통으로 46세 여자가 내원하였다. 시행한 신체검사 및 영상검사에서 심장종양으로 진단되었으며 이전 병력에서 총 세번의 심장점액종으로 인한 수술력이 발견되었다. 이외에도 좌측유방의 선종, 우측 전완의 종괴, 우측 코의 종괴 및 자궁근종으로 절제술 받은 적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병력들은 카니증후군에서 나타날 수 있는 진단기준 중의 하나이다. 환자는 카니 증후군 중 재발성 심장점액종으로 진단되었고 네번째의 심장종양 제거술을 시행받았다. 수술은 일반적인 심장종양 제거술로 정중흉골절개 하에 시행되었으며 수술 소견에서 우심방 및 우심실, 좌폐동맥까지 뻗어 있는 큰 점액성 종양을 볼 수 있었고 육안적인 완전제거술이 이루어졌다.

결과 : 환자는 수술 후 다음날 인공호흡기를 제거 하였고 수술 후 이틀째 일반병실로 전실하였으며 이후에도 별다른 합병증없이 수술 후 10일 째 되는 날 퇴원하였고 지속적인 추적관찰을 시행하고 있다.

결론 : 카니증후군은 특징적인 일련의 임상양상을 가지고 있어 재발성 심장점액종 환자에서 자세한 병력조사가 필수적이다. 수술 이후 어떠한 추적관찰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동일한 또는 유사한 증상이 있을 때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카니 증후군에 대해 인식하고 이에 대한 예후를 추측함으로써 의료진과 환자본인에게 좀 더 효과적인 수술방법 및 앞으로의 관리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재발성 심장점액종 및 카니 증후군에 대하여 국내에 보고된 증례가 거의 없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책임저자: 김근직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연락처 : 권오영, Tel: 053-200-5665 , E-mail : koy1130@gmail.com

목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