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접수 현황

14F-016 구연 발표

식도암을 대상으로 시행된 수술 로봇을 이용한 최소침습 식도절제술: 단일 기관 80례 보고
이근동¹, 김용희¹, 김범수², 김찬욱², 이인섭²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서울아산병원, 외과학교실²

목적 : 식도암을 대상으로 시행된 다빈치(da VinciTM Surgical System: Intuitive Surgical Inc Sunnyvale, CA, USA) 수술 로봇을 이용한 최소침습 식도절제술의 임상 경험을 분석하여 적합성 및 안정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8년 12월부터 2014년 7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수술 받은 총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적 지표 및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을 조사하였고, 대상 환자들을 기간에 따라 2008년 12월부터 2012년9월까지를 period 1 (n = 39), 2012년 10월부터 2014년 7월까지를 period 2 (n = 41)로 나누어서 결과를 비교해 보았다.

결과 : 대상환자의 연령의 중앙값은 63세 (41-79)로, 76명이 남자였다. 식도암은 편평세포암종이 79례였으며, 수술 후 병리학적 병기는 stage 0, 1, 2, 3기가 각각 9, 41, 25, 5례였다. 수술은 Ivor Lewis approach가 12례 (15.0%), McKeown approach가 67례 (83.8%), colon interposition이 1례 (1.3%)였으며, 식도암의 완전절제가 가능한 경우는 74례 (93.7%)였다.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은 총 45명 (56.3%)의 환자에서 나타났으며, 초기 합병증으로 반회신경 마비가 19례 (23.8%), conduit 관련 합병증 및 문합부위 누출이 각각 4례 (5.0%), 3례 (3.8%)에서 나타났으며, 만기 합병증으로 시술이 필요한 정도의 문합부위 협착이 23례 (28.7%)에서 나타났다. 기간을 기준으로 나누어 비교해 보았을 때, 양군에서 수술시간, 재원기간, 완전절제의 비율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period 2에서 반회신경 마비 (period 1 = 35.9% versus period 2 = 12.2%, p = 0.013), conduit 관련합병증 및 문합부위 누출 (period 1 = 15.4% versus period 2 = 0%, p = 0.011), 문합부위 협착(period 1 = 43.6% versus period 2 = 14.6%, p = 0.004)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관찰이 되었다.

결론 : 식도암에 대한 다빈치 수술 로봇을 이용한 최소침습 식도절제술은 실현 가능한 수술 방법이지만 기술적 요구도가 큰 수술이다. 특히, 시행 초기에는 반회신경 마비, conduit 관련 합병증 및 문합부위 누출, 문합부위 협착과 같은 합병증 발생에 대한 특별한 주의가 요구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수술적 경험과 전략이 요구된다.


책임저자: 김용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서울아산병원
연락처 : 이근동, Tel: 02-3010-3580 , E-mail : geundy@hanmail.net

목 록